WVC테솔자격증과정 (2) " UNIT 5-8 후기 "

SEONHEE 2022-02-10 조회수 : 3,855
Unit 5 Classroom management 

- reading 부교재는 

ch2.managing your classrooom



- 학생들의 learning styles에도 주된 세가지 

형태(visual, auditory, kinesthetic)들이 있다.

특히 kinesthetic은 학습과 행동을 통해 좀더 실천적인 방법으로 role play, acting 등, 

세가지 모두 학습에 있어서는 균형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 같다 








- warmers 시간, 내용 등 고려할 부분들과 적용으로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 clear instruction 에서는 don’t be too formal 부분에서 

평소 실수하는 개인적인 부분이 깨달아졌고, 

학생들 입장에서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가 다시 중요하게 느껴진다.





- choice 학습방향계획들을 정할 때 근거가 있고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전체적으로 학습자 중심의 방향 선택이 중요하다는 것


- grouping students에서 주의할 점이 단순히 같은 레벨이 좋은 것만은 아니다라는 것. 

서로에게 새로운 배움을 못 줄 수도 있기에 상황별로 바꿔주는 것이 더 좋다는 것과 

이 grouping 방법에서 학생들은 더 자신감을 가진다는 것

교사입장에서 반드시 또 알아얄 것이 바로 “ learner training ”이다

(참고 12-14 what makes a good learner ?)





How to study. how to use resources,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reflection-how

( taking notes와 doing homework 할 수 있도록 이끌면서 스스로 배우게 하는 기회를 갖게 하는 것 점검)



T.T.T (teacher talk time)의 특징인 traditional teaching, easy but, ineffective함을 생각하면서

 “ The less you talk, the more students talk.” 

강사선생님의 반복적으로 강조하는 이부분에서

 (무의식적으로 교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들으면서 다시 중요한 부분으로 기억해본다






unit 6 Assessment and error correction

assessment의 정의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단순한 test개념보다 더 크고 포괄적인 개념이라는 것이다


Bea선생님 설명처럼 “ assessment can be 

just gathering information about our students’ learning ” 

단순한 평가의 개념보다 예전보다 향상된 skills은 무엇인지,

보다 더 발전이 필효한 skills는 또 무엇인지, 

교사의 입장에서 효과가 적은 teaching practices들은 무엇인지, 

학생들의 학습 습관 등 총괄적인 정보들을 진단하고 파악할 수 있는 영역임을 인지할 수 있다.

Types of assessment - Summative assessment v.s Formative assessment

테스트나 퀴즈형태일 수 있고 학습자들의 주된 언어스킬을 측정할 수 있는

 presentations형태, Portpolios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학습의 종합평가정도로 final products를 가져오고, 보통 지역이나 국가시험형태들이 많다)


Formative assessment 는 

학습과정 중에 많은 학생참여와 

실제적인 피드백과정, 게임 등을 활용하며

 Exit slips통해 그전 배운 내용에 대해 보통 2문제정도 여러 방향의 질문 적용을 할 수 있다

 (기타 Q.A, Peer review )

 Formative assessment 과정 중에 학생들로부터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게 

Don’t tell the students what you’re doing 사항이 인상적이었다






특별히 Error correction 파트에서는 “How to encourage the students”점에서

Mistake 와 Error의 차이점이 나온다 .

“ error is something that our students didn’t know .

mistake is something that they did know, but said wrong“ 






cognates개념 : have the same sound, but have different meanings.



correction 하는 방법들이 나오고 연결해서 주의할 점들이 유익했다.

학생들이 단순히 speaking a lot이 목표라면 Don’t interrupt하는 것이 좋으며

그러나 학생들의 speaking perfectly, 정확성 (accuracy)이 목표라면 개입이 가능하다는 것. 



“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do

 when we correct errors is smile !!“

 “ Mistakes are awesome ”






강사 스스로 실수에 인색하고 완벽을 추구하는 타입이라면 학습자에게 곁코 좋은 영향력을 

끼칠 수 없으며,. 실수할 수 있는 기회는 함께 성장하고 발전해 갈 수 있는 기회임을 느낀다.

 교사가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한 학생에게  발전할 수있는 기회로 삼거나

아니면 아무것도 못하게 막는 상황으로도 가게할지도 모른다는것...





unit 7 Course design and lesson planning

 
유닛7에서는 아래 내용과 부교재 내용들을 참고한다 (사진)

 


여기서 “ Backward design” 과정은 

- identify desired results     

– determine acceptable evidence

- plan learning experiences and instruction 흐름을 따라간다. 

(먼저 학습 목표로 하는 기대 결과들을 확인-- 수용할만한 증거 결정하기- 학습경험과 수업지침들 계획하기이다.) 

학습에 있어 목적을 분명히 하고 곁길로 가지 않도록 방향을 분명히 할수 있는 실질적 도움이 되는 개념인 것 같다.

 


두 번째로 P.B.L (project-based learning) 인데 실제적인 여건들이 된다면 

총체적으로 언어학습에 좋은 방법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학습은 정의에서 학습자들이 creative, choice할 수 있고 

4가지 언어필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학습자 주도이기에 

동기부여와 참여폭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시간이 걸린다는 특수사항이 있으나 

리딩이나 여러 이슈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학습이라는 것이다.

 



Using textbook 관련한 여러 사항들도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적합하지 않다면

 No textbook상황에서 온라인자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보충교재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videos, images, games. worksheets...) 

들을 이용할수 있는 감각이 필요하다.
 

기타 Teaching strategies (PPP.ARC.TTT). Inductivie activity. Task등에 관한 주제들이 나열된다



 





unit 8 Teaching reading





새롭게 정리할 수 있었던 부분이 Reading strategies 용어들이었다.

Reading for detail – Scanning –Skimming


특히 Scanning 과 Skimming의 차이를 예시와 함께 들어서 이해에 도움이 된 것 같다. 

intensive, extensive , authentic, created reading 각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었다.

우리 학교 진학교육(평가) 현실상 점점 intensive한 reading 을 더 많이 접하고 있는 것 같다.

좀 더 여유를 가지고 학습자의 레벨에 적합한 재미와 fluency & acquisition을 목표로 하는

extensive reading 등 나열된 reading 학습들을 고려해 봐야겠다. 




한편 기본적인 reading problems 들이 있고 reading문제와 특히 writing과 연계된 사항에서,

<key point> “If you don’t have time to read, you don’t have time to write “ 

라는 말처럼 각 언어기능이 분리된 기능들이 아니라 함께 유기적으로 관련한다는 것이다. 

언어습득의 기본, reading이 input기능의 역할을 충분히 할 때 output기능(writing)이 작동할 수 있는 것 같다. 

context상황에서 등장하는 Vocabulary의 각 특징들을 접하는 기회가 된다



최신순 조회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