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팝업창

    WVC TESOL 합격은 걱정마세요.
    이미 많은 선배들 이 여러분들의 합격을 도와줘요.

    WVC 테솔 자격증 : 유닛 9-12

    SOONA 2021-12-12 조회수 : 7,463

    UNIT 9



    Teaching writing

    Strategies, Types Of Writing, Grading Writing, And More





    Writing ≠ Speaking 쓰기와 말하기는 다르다. ☞ the use of repetition.







    Guided Writing Tasks (처음에는 정해진 틀을 정해주고 시작한다)

     ** Follow first language acquisition**

    정확하고 간결.

    형용사의 순서 배우기를  표로 그린 예문을 들어서 설명해 준다 - ** 강조하는 단어가 있을 때는 규칙을 바뀔 수 있다. 예외에 대해 꼭 알려줄 것.

    짧은 질문에 답하기.

    섞인 문장 순서찾기.

    섞인 이야기 순서찾기.

    무엇을 써야하는지, 왜 써야하는지 학생들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transitions을 잘 사용해야 organized writing을 할 수 있다.

    For And Nor But Or Yet So -> FANBOYS



    Beginning & High-Beginning

    알파벳 익히기 기본. 짧은 문장 베껴쓰기. 그림보고 짧게 묘사하기 : using simple language

    시제나 접속사를 배울 경우 각각의 문장이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Make sure Ss know vocabulary words to do this task.

    꼭 예문을 먼저  보여 주고, 학생들이 혼동을 일으키는 일이 없도록 한다.



    Intermediate

    **Producing accurate writing, the content should be easy **

    정확한 글쓰기를 목표로 한다면, 그 내용은 쉬워야 한다,

    Letter writing - cards!

    지시사항은 명확 - chronology, imperatives

    편지. 이메일 쓰기

    리뷰 쓰기 - 좋아하는 영화(summary : what's movie about? - why is it your favorite?)

    아래 클립처럼 서로 다른 사진 두 장을 각자 가지고 차이점 서로 이야기 해보기. (이야기 해보기.차이점 찾아보기. 쓰기)

    Dictation : note-taking (MUST MODEL!) : Advanced

    Biography : 모두 아는 유명한 사람에 대한 짧은 전기를 읽어주고 자기 자신에 대해서든 다른 유명인에 대해서든 써보기

    Goals : 목표 적어보기. general future goal( ~를 여행하고 싶다 ☞ 어떻게 할것인지. 왜? 적도록)

    어떤 information이 들어가야 하는지 꼭 명확하게 지시해줘야 아무 이야기나 쓰지 않는다.

    A full dictation is a good activity for intermediate.



    Advanced

    Organization(글을 쓰는 구조) ! 이미지를 보여주고 설명하면 이해하기 쉽다.

    ◆Thesis statement        - Introduction

    ◆Details ↑                       - Body paragraphs

    ◆Closing statement↑   - conclcusion

    ◆Clear and concise

    테드의 정보는 무궁무진 하다. 학생들이 토픽을 고르고 나서 main point를 적어본다 : 방법을 알려준다. how to take-note → 무엇을 적어야 하는지 배울수 있다.

    국어 교육도 글을 읽고 요약을 하는 방법, 중요한 부분을 하이라이트 하는 것. 중요한 내용을 따로 적어두는 것을 배우는 것처럼 모든 언어의 기본은 서로 통하는 것 같다.




    Grading Writing

    **DON’T CORRECT FOR THEM!**

    스스로 고치는 연습을 해야 자기의 것이 될 수 있다.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간단한 표시를 해서 어디가 틀렸지만 알려주도록 한다.

    잘한 부분에 대한 칭찬은 절대 빼먹지 말아야 한다!

    동사가 틀렸을 때 주어와 함께 묶어 표시해 주는 부분이 굉장히 유익하다. 보통 동사만 체크하는데 주어까지 함께 표시해두면 주어와 동사를 함께 알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노트를 붙여서 잘 했던 부분을 먼저 확인시켜 주는 것도 우리말 작문과 마찬가지로 보인다. 그리고 고칠 점을 다음에 적어준다.

    체크하는 색깔은 빨간색은 쓰지 말라고 조언했다. 빨간색은 분노의 색이라고 부드럽고 따뜻한 색을 쓰라고 함.



    SUMMARY

    글쓰기가 왜 필요한지 학생들이 알아야 한다.

    Organization : Follow first language acquisition

    use real world task.




    UNIT 10

     

    Teaching Speaking





    스피킹은 communication을 위한 수단.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목표.



    pronouciation : Syllables & Stress 

    ●Syllables

    자음+모음 = syllabel

    Open :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는 것​ :  so/fa see you. 

    Closed : 단어가 자음으로 끝나는 것 (not as common) : art girl dog

    Articulation(formation of sounds) = Production of a sound.

    ​phoneme : The individual sound that makes a difference between two words is called a phoneme

    ●Stress : EMphasis

    "강세" 이다. 한국어에는 강세가 없기때문에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

    영어의 80%는 첫음절에 강세가 있다. 

    강세가 있는 부분은 강조해서 말하거나 산 모양으로 보여준다.



    ●IPA: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발음기호)  : 수업시간에 항상 이용하도록 한다.



    Minimal pairs

    Minimal pairs_최소대립쌍

    초성이나 가운데가 다른 한쌍의 단어나 음. 발음훈련에 효과적.

    ex) Bit / Pit, Bed / Bad

    students learn to produce the minimal differences and thus understand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words



    Correcting Speaking

    교정할 때는 학생들의 실수는 늘 생긴다는 것을 인식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모든 활동이 가능하지만 (flexible) 학생들의 실수에 대해 미리 준비해둔다. 

    유창함이 목적일 때는 끊지 않고, 따로 적어두거나 녹음을 해둔 후 나중에 긍정적인 태도로 교정을 해줘야 한다.



    Teaching Strategy



    Fluency

    유창한 대화가 가능하도록 모든 학생이 활동에 참여하도록 주의

    토론, 그룹활동, 의사소통 기술을 익히도록 한다. - 끼어들기, 주장하기

    조사하고 발표하기.

    학생들이 적극적을 참여할 수 있도록 흥미롭게 만든다.

    유창함과 정확함은 다르다.

    유창함 : 많이 말하기 / 정확함 : 정확하게 말하기






    가장 중요한 것은 PRACTICE, PRACTICE, PRACTICE!

    완벽한 발음보다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수업이 중요하다.





    UNIT 11



     Teaching Listening



    알아둘 것들

     Speaking & Listening

     Purpose

     Affects strategies

     Specific focus

     Start simple

     How many times? 

     Individual -> group

     Created vs. Authentic

     Reduce anxiety




     ◆PURPOSES

    특정한 정보를 얻기위해/ 문맥파악/전체적인 내용(FUN : TV.movies.music)/ 듣고 나서 정보제공(일반적 내용을 배운다.)

     **예시(광고를 들을 때)

        ● Ads : 어떤 물건인지/가게가 어디인지 듣도록/ 가격/ 왜 사야하는지 

     → Then, creat thier own ---- relia를 이용해 자기 물건에 대한 광고를 만들어 볼 수 있다.



     ◆PREPARING


    When making a lesson plan for listening :

     -What is the purpose?

    - What skills will be practiced?

    - Is the task level- appropriated?

    - What is the​ key vocabulary?

    - Is it interesting?

    - context

     → 문맥상 정보가 있어야 하지만 너무 많이 주지는 않도록/ 학생 스스로 찾아갈수 있도록.


     ◆IMPLEMETING

     ●Predict Key Vocabulary : 리스닝의 목적을 학생이 알수 있도록 한다.(핵심어휘를 주고 무슨 일이 일어날 지 예측하도록 한다.)

     ●학생들을 주의깊게 관찰한다.

     ● 2-3번 들려준다.

                  --첫번째는 듣기에만 집중하도록 하고, give some time, 두번째 듣기에서는 과제에 집중하도록 하고, allow discuss with a partner.

                  -- detailed comprehension : What would you do in this siuation? / What would you think it might happen next?

                 --  written work 

                    →  쓰기.말하기로 확장 ( 모든 활동은 목적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LISTENING TASKS

    Dictation: 교사가 만들수도 있다 - 장점 : control vocab, grammar, length, topic

    Conversation : 일반적 내용 듣기/textbooks,YouTube,movie clips

     **songs : 발음이나 이디엄에 주의한다. 재미있어야 함.

    ●Song activities

    학습자들에게 무엇에 대한 노래인지 예상해보도록 한다.  /또는 이 노래에서 생긴 일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한다.

    빈 칸채우기/딕테이션 

    비슷한 주제를 가진 노래를 찾아보도록 한다. 무엇에 대한 조사인지 꼭 확인해 줘야 한다.



     **영화클립

     **온라인 자료

    Ted.애니메이션.뉴스.광고.

    직접 원하는 분량의 딕테이션 자료를 만들수 있다 - Control vocab, grammar, length, topic





    실생활에서 쓰는 언어를 배울 수 있는 온라인 자료들을 소개. Nature, History 채널은 실생활에서 쓰는 언어이고 천천히 말하기 때문에 듣기 자료로 좋다. 교사는 먼저 자료를 듣고 알아야 할 단어들에 대해서 확인해 둔다. 클립을 먼저 보여준 후 더 긴 비디오를 보여주도록 한다.

    worksheet이나 Q&A 자료를 준비해서 나눠주고 어떤 활동을 해야하는지 정확하게 알려준다.

    항상 구체적이고 정확한 지시사항을 내리도록 강조한다. 집중력이 짧은 어린이들에게는 특히나 더 중요.

    학생들이 관심있을 만한 자료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듣기활동의 예시

    ♠Types of Activities♠

    □ Correct order                                             :  가장 먼저. 그 다음 일어난 일은 무엇인가?

    □ True/False                                                  : Yes, No로 대답 가능한 질문.

    □ Note-taking (advanced)*                 

    □ Checklists

    □ Re-create*   → 학생이 선택하도록                             

         ▲ Writing

         ▲ Poster

         ▲ Skit 

    모든 활동은 학생 중심으로.

    **Be very clear with students about how much writing they need to do. **



    GRADING : Written work, observation, final products



    SUMMARY

    활용할 수 있는 자료들이 많이 나와있다. 

     LISTENING : 듣기 수업 진행시 2-3번 들려주는 것이 좋다.

    처음에는 Just Listen. (연필을 내려놓고 듣는 것에만 집중하도록 한다.)

    그 다음에는 메모하며 듣기, 빈칸 채우기 등 학생 수준에 맞는 활동을 하며 듣는 것 추천.

     ** 듣기를 하면서 어떤 활동을 하게 되는지 몇 번 들려주는지 정확한 지시사항이 필요**





    ​UNIT 12



    DEVELOPING MATERIALS



    HOW TO CREATE EFFECTIVE AND ENGAGING MATERIAL



    TOPICS



    MATERIALS

    ●Types of visuals





    **www.islcollective.com : 다양한 Worksheet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서 유용한 사이트



    **REALIA (매 주 하도록 추천) : 우리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것들로 게임 진행

    use every objects : bring them into the classroom.

    What's in the bag? : 모델로 보여준 게임. 가방에 있는 물건을 만져보고 물건에 대해 묘사하면서 맞춰보는 게임. 

    더 많은 질문이 없으면 교사가 질문 예시를 들어준다. 





    WORKSHEETS

    worksheet의 구조에 대해 설명

    아래 이미지처럼 clear title로 눈에 잘 띄게.

    clear instructions : 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 잘 드러나도록.

    examples : 꼭 예시를 들어서 학습자가 혼동을 일으키거나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서 당황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formatting : 제목.지시사항.예문.그림.공간이 얼마나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한다.

    pictures : 그림은 있어도 없어도 되는 내용이지만 그려두면 환기도 되고 무엇에 대한 글인지 추측도 가능하기 때문에 넣어주는게 좋다.

    plenty of space : 답안을 적을 공간은 넉넉하게.







    GAMES

    **in pairs or in groups

    Two truths and a lie : 두 가지 진술은 진짜, 하나는 거짓 그 중 어떤 이야기가 거짓인지 맞추는 게임

    Charades and pictionary : 제스처 게임/ 그림맞추기 게임

    **individual games 

    Crossword / word search/spelling games

    **어떤 게임을 하는지, 어떻게 하는 게임인지 정확하게 알려줘야한다.**





    USING TEXTBOOK RESOURCES

    교재도 게임으로 쓸 수 있다. - scramble sentences

                                                  - bigger worksheet + add

                                                  - listening activities : make a worksheet



    SUMMARY

    사진. 영화.비디오.애니메이션.카툰 무엇이든지 자료가 될 수 있다.

    재미있고 쉽고, 게임 내용이 잘 짜여져 있어야 한다. -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각 활동에 필요한 현실사용 가능한  문법이나 어휘를 꼭 쓸 수 있도록 한다.

    긴 비디오의 경우는 나눠서 보여주도록 한다.

    어떤 게임을 하게 되는지 꼭 알려준다.시연을 해보는 것이 좋다.





    12과 까지 정리가 끝났다.

    어린이들을 가르치는데 꼭 필요한 인내심. 항상 웃고 학생들의 실수에 대해 관대해 질 것. 미리 자료를 준비하고 수업 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에 대해서도 미리 예상을 해두는 것도 좋은 내용이다. 우리 주변의 모든 context가 수업 활동 중의 재미있는 활동이 될 수 있다는 것도 흥미로웠다. 

    누군가를 가르친다는 건 내가 더 많이 알아야 하고, 또 더 많이 배울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는 일이다. 

    이제 부교재로 심화과정을 시작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