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3-4133


WVC 테솔 수업 내용 정리 6-7유닛 -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표에 맞는 수업 계획 짜기

Unit 6 Assessment

Assessment=gathering information
Assessment 는 단순히 test를 넘어서 더 큰 개념을 포괄하고 있는데, assessment 를 통해 학생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무슨 스킬을 배우게 됐는지, 더 개선이 필요한 스킬은 어떤 게 있는지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 습관 등도 알 수 있게 해줍니다. 

Types of Assessment

Assessment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Summative
Summative Assessment는 배운 내용을 총 집약해서 최종적으로 테스트 하는 것입니다. 테스트나 퀴즈, 발표, 레포트, 국가 시험, 포토폴리오 등이 있습니다. 

2) Formative
Formative Assessment는 수업시간 동안에 학생들을 관찰하며 이루어집니다. 학생 참여로 이루어지며, 선생님은 Descriptive feedback를 하게 됩니다. 학생들이 어떤 활동을 할 때 잘하고 있다는  칭찬입니다. Formative Assessment에는 게임, exit slips (오늘 수업시간에 무엇을 했는지, 가장 재미있었던 건 뭐였는지 등의 질문이 적힌 종이를 수업 끝나기 전에 줍니다.) ,Q&A, Peer Review (학생들끼리 서로 평가), Goal Setting (목표 설정) 이 있습니다. 



​Placement Tests 

학생을 어떤 반에 배정해야 할지 결정하기 위한 일종의 레벨 테스트입니다. 주로 외부 교육 기관에서 만든 테스트를 활용하며 4가지 기본 스킬을 다 테스트해야 합니다. 

Diagnostic Tests(Problems)
Diagnostic test는 학생이 리딩, 라이팅, 리스닝, 스피킹에서 가지는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기 위한 점검 수단입니다. 점수가 매겨지지는 않습니다. 어린 학생들보다는 성인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입니다.


Achievement Tests(Progress)
Achievement test는 학생들이 수업 기간 동안 무엇을 성취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gress achievement test가 있고 final achievement test가 있습니다.

Progress test는 보통 일주일에 한번 정도 진행되며, 학생들이 수업 과정의 단기적인 목표를 달성한 정도를 평가하고, 과정의 최종 목표까지 얼마나 진척이 이루어졌는지를 측정합니다. 퀴즈나 중간고사, 게임을 이용해서 평가하며, 꼭 형식적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점수 매기는 것도 유연하게 진행됩니다. 

Final Achievement Tests 수업 과정 목표를 달성했는지를 평가합니다. 학생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시험에 무엇이 나올지 스터디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양한 문제 유형을 사용하여 평가해야 합니다.

Designing a test



시험을 만들 때 시험지에 학생들이 쓸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해야 합니다. 문제 지시사항이 명확해야 하며, 다양한 문제유형을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Error Correction
학생들이 오류를 범했을 때, 입장을 바꿔서 본인이 어떻게 교정을 받고 싶은지에 대해 생각해봐야 하고, 미리 계획을 짜야 합니다. 또한 그 때 배우고 있는 사항들에 대해 범한 오류만 교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과거 시제에 배우고 있는 중이였다면, 그것에 대한 오류만 교정해주고 어휘 관련 오류는 건드리지 않는게 좋습니다.


Unit 7 Course Design and Lesson Planning

Course Design



이 강의에서는 Course design를 Backward design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결과부터 생각하는 것인데, 학생들이 이 수업 코스를 다 마쳤을 때 얻길 바라는 결과를 설정합니다. 즉 목표와 기준을 먼저 정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학생들이 이 목표를 달성했는지 확인할 evidence를 정합니다. Test가 한가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난 후에 커리큘럼을 짜고, 어떤 토픽을 다룰 것인지 정합니다. 

수업이 끝날 때까지 학생들이 성취하기를 원하는 것에 대해 매우 구체적으로 설명하세요.




​Textbook 
교재를 선정할 때 주변 동료들에게 물어보고, 온라인에서 조사를 합니다. 학생들이 지루해하지 않게 하기 위해 다양성을 가진 교재가 좋습니다. 교재가 어떤 리소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레이아웃이 보기 편한지, index와 차트가 있는지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Lesson Plan Contents
수업 계획에는 reading, listening, speaking, writing 4가지를 다 포함해야 하며, 다양한 스타일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해야 합니다. 같은 내용이라도 다른 방식으로 여러 번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느끼고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들로 구성해야 합니다.

수업 계획에 유념해야 할 사항입니다.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표에 맞는 수업 계획을 짜야합니다.
-학생들이 직면할 만한 어려움에 대해서 미리 예측하고 대비할 방법을 미리 구상해야 합니다.
-timing: 수업시간에 무슨 활동들을 할 것인지 정해놓고, 활동들을 하는데 시간이 얼마나 소요될지를 대략적으로 정해야 합니다. 
- 수업에 필요한 재료를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 너무 많은 디테일은 삼가야 합니다. 한번에 훑어보기 쉽도록 수업 계획서를 짜야합니다.
- 수업 계획서 복사본을 만들고, 향후 수업에 참고하기 위해 보관해 둡니다. 매 수업 후에 어떤 것이 잘 진행됐고, 어떤 것이 별로 좋지 못했는지 적어놓고 나중에 참고하도록 합니다. 

Lesson Plan Formats
수업 계획서가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는지,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불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는 않은지를 체크해야 합니다. 

Teaching Strategies. 

교수 전략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PPP (Presentation, Practice, and Production)
-Present: 선생님이 수업시간에 전달해야하는 정보를 학생에게 전달합니다.
-Practice: 선생님이 설명한 정보들을 최대한 활용해서 연습하는 시간입니다. 
-Production: 수업시간에 배운 구조나 어휘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합니다. 

2) ARC (Authentic use, Restricted use, Clarification and Focus)
-Authentic: 문법을 설명합니다.
-Practice: 학생들이 연습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Fix issues/ Answer Questions: 문제가 있다면 고쳐주고, 질문에 답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3) TTT
-Test: 학생들이 이미 알고있는 정보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Teach: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며 가르칩니다.
-Test: 배운걸 테스트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최신순 조회순

합격노트 리스트

카톡상담 전화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