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C 수강 일지 ] WVC 텍 시작하기 - 전체 Summary 4-6 Module
![](https://wvctesol.com/_upload/editor/1739172653776001.jpg)
Module 4: 동기와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의 역할
모듈 4에서는 학습 동기와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 즉 감정적인 요인이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특히 아이들에게는 격려와 자신감을 키워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습니다.
생각해보니, 이러한 점은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에게도 마찬가지로 중요한 요소인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학습 과정에서 좌절이나 실패, 두려움을 너무 일찍 경험하면 성인이 되어서도 이 감정들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아이들이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답을 찾지 못하거나 유창하게 말하지 못할 때 자신감을 잃을 수 있는데, 이때 교사는 아이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단순히 성적과 점수를 목표로 하는 언어 학습이 아니라, 아이들이 더 배우고 싶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야겠다고 느꼈습니다.
Module 5: 일반적인 교수법과 접근법 이해하기
![](https://wvctesol.com/_upload/editor/1739172674175243.jpg)
모듈 5에서는 본격적으로 교수법(Teaching Methodology)에 대한 내용을 배우게 되면서, 실제 수업에서 어떤 일들이 발생할 수 있는지도 함께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교수법을 선택할 때 중요한 요소로는 학생들의 나이, 언어 능력 수준, 그리고 문화적 배경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결국 효과적인 교수법의 핵심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최신 교수법이나 하나의 특정 방법이 항상 정답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내가 가르치는 반의 환경과 학생들의 특성을 잘 고려해 적합한 교수법을 선택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Module 6: 듣기와 말하기 지도
모듈 6에서는 아이들이 언어를 배울 때 듣기(Listening)와 말하기(Speaking)가 왜 중요한지를 다루었습니다. 아이들의 발달 과정에 맞추어 듣기와 말하기가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하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s://wvctesol.com/_upload/editor/1739172750243119.jpg)
무엇보다 교육에서는 아이들의 발달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듣기 연습도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각 아이의 발달 단계에 따라 교수법이 다르게 접근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말하기 연습에서 생각보다 다양한 카테고리가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단순히 회화 연습만이 아니라 노래 부르기, Tongue Twisters(발음 연습 구절)를 활용해 재미있게 말하기를 연습할 수 있는 방법도 교육에 포함될 수 있었습니다.
유치원 때 불렀던 동요와 활동들이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선생님들의 치밀한 계획과 교육 목표에 따른 것이었다니, 새삼 놀랍기도 했습니다! 앞으로 수업에서 잘 참고해 적용해 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