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ol challenge _ WVC Tesol / unit 8~11
unit 8: Teaching Reading
테솔 여덟번째 유닛에서는
- reading 을 가르치는 방법
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려주고 있어요.
Reading is not PRONUNCIATION !!!
저는 파닉스를 배우는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발음 규칙과 관련된 책을 자주 읽히고 있어요.
배운 파닉스를 바로 연습 할 수 있도록 말이죠!
이때 제가 하고 있는 reading out loud 는 reading comprehension 과는 관련이 없는 연습인거에요.
아직 독해 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의 경우, 저는 '읽을 줄 아는 능력' 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독해' 가 필요한 고학년 이상의 학생이라면 '진짜 reading' 이 중요하겠죠?
그렇다면 reading 을 위한 전략은 어떻게 계획해야 할까요?
테솔에서는 3가지 방법을 제안하고 있어요.
1. reading detail
2. Scanning = Reading to find specific information
3. Skimming = Reading to get the main idea
고등학생의 경우 수능을 목표로 두고 reading comprehesion 연습을 정말 많이 하잖아요.
이때 'scanning'과 'skimming'은 다들 한번씩은 꼭 들어보는 reading 전략이죠.ㅎㅎ
comprehesion 을 위한 전략이다보니 저도 공부하면서 직접 더 연습을 해보려고 해요~
reading 의 목적에 따라 'intensive reading' 과 'extensive reading' 으로 나누어서 설명해주는데요~
이 부분은 퀴즈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부분이라~ 시험 후기에서 그 팁을 알려드릴게요!
선생님이 학생에게 어떤 종류의 reading resource 를 주느냐에 따라 그 방법과 목적이 달라지더라구요.
authentic reading 의 경우
native speaker 이 어떻게 말하는지 배울 수 있는 reading 자료라고 할 수 있어요.
따라서 지문의 길이도 더 길고, 가장 대표적인 authentic reading은 'newspaper' 로
주로 high level 친구들에게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어요.
반면 created reading 의 경우
지문의 길이가 더 짧으며 학생의 level에 맞춘 reading 자료에요.
따라서 선생님이나 혹은 책을 만드는 전문 회사에서 레벨에 적절하게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죠!
둘 중 어느것이 더 중요하다~ 가 아닌
두 부분을 적절하게 섞어서 연습을 시켜나가는게 정답이겠죠? ㅎㅎ
더보기
https://blog.naver.com/wvc_online/222416513436
테솔 여덟번째 유닛에서는
- reading 을 가르치는 방법
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려주고 있어요.
Reading is not PRONUNCIATION !!!
저는 파닉스를 배우는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발음 규칙과 관련된 책을 자주 읽히고 있어요.
배운 파닉스를 바로 연습 할 수 있도록 말이죠!
이때 제가 하고 있는 reading out loud 는 reading comprehension 과는 관련이 없는 연습인거에요.
아직 독해 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의 경우, 저는 '읽을 줄 아는 능력' 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독해' 가 필요한 고학년 이상의 학생이라면 '진짜 reading' 이 중요하겠죠?
그렇다면 reading 을 위한 전략은 어떻게 계획해야 할까요?
테솔에서는 3가지 방법을 제안하고 있어요.
1. reading detail
2. Scanning = Reading to find specific information
3. Skimming = Reading to get the main idea
고등학생의 경우 수능을 목표로 두고 reading comprehesion 연습을 정말 많이 하잖아요.
이때 'scanning'과 'skimming'은 다들 한번씩은 꼭 들어보는 reading 전략이죠.ㅎㅎ
comprehesion 을 위한 전략이다보니 저도 공부하면서 직접 더 연습을 해보려고 해요~
reading 의 목적에 따라 'intensive reading' 과 'extensive reading' 으로 나누어서 설명해주는데요~
이 부분은 퀴즈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부분이라~ 시험 후기에서 그 팁을 알려드릴게요!
선생님이 학생에게 어떤 종류의 reading resource 를 주느냐에 따라 그 방법과 목적이 달라지더라구요.
authentic reading 의 경우
native speaker 이 어떻게 말하는지 배울 수 있는 reading 자료라고 할 수 있어요.
따라서 지문의 길이도 더 길고, 가장 대표적인 authentic reading은 'newspaper' 로
주로 high level 친구들에게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어요.
반면 created reading 의 경우
지문의 길이가 더 짧으며 학생의 level에 맞춘 reading 자료에요.
따라서 선생님이나 혹은 책을 만드는 전문 회사에서 레벨에 적절하게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죠!
둘 중 어느것이 더 중요하다~ 가 아닌
두 부분을 적절하게 섞어서 연습을 시켜나가는게 정답이겠죠? ㅎㅎ
더보기
https://blog.naver.com/wvc_online/222416513436